한국생산성본부 지속가능경영지원센터

K-ESG 가이드라인

K-ESG 가이드라인 소개

• K-ESG 가이드라인의 특징

  • - ESG 수준진단 기준 명확화
  • - 자가진단 가능한 추가설명 상세화
  • - 추가 진단항목을 통한 범용성
  • - 기업 외 이해관계자(투자기관, 평가기관, 정부기관 등)가 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확장 가능성

• 현재 ESG 평가시장 이슈

국내외 ESG 평가기준 불투명성
  • - 국내외 ESG 평가기관은
    ESG 평가점 / 등급 등을 산정하는
    방법론을 공개하지 않음
  • - 기업은 국내외 ESG 평가지표에 따라
    자가진단할 수 없으며 과도한
    비용 / 노력이 소요됨
ESG 성과관리를 위한 데이터 미제공
  • - ESG 평가지표 명칭만 확산되고 있을 뿐,
    구체적인 데이터 포인트를 적시하지 않는
    경우가 많음
  • - 기업은 ESG 성과관리 위해 어떠한
    데이터를 관리해야 하는지 이해하기
    어려움
ESG 성과개선 위한 피드백 부족
  • - ESG 평가기관은 ESG 평가점 / 등급만을
    제시하며 해당 평가점 / 등급을
    산출한 사유를 제시하지 않음
  • - 기업은 ESG 평가점 / 등급 향상을 위해
    어떠한 개선활동을 추진해야 하는지
    파악 불가

• K-ESG 가이드라인의 특징

글로벌 ESG 동향
진단항목의 목적, 방향성, 단계별 상세 기준의 명확성
  • - K-ESG 가이드라인은 항목별 진단 방향성 및 상세 진단 기준을 제시
  • - 특히, 글로벌 지표 외 국내 산업특성과 법/제도 정합성을 충분히 검토
  • - 기업은 스스로 ESG 성과를 진단함과 동시에, ESG 성과개선 목표 수립 가능
기업 자가진단을 위해 항목별 추가설명의 상세화
  • - ESG 경영체계 구축을 위해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요소를 안내
  • - 자가진단의 어려움이 없도록 단계별 기준, 적용방안, 추가설명 구체화
  • - 항목과 관련하여 참고할 수 있는 다양한 외부자료를 소개
기본 진단항목 외 추가 진단항목을 통한 범용성
  • - 기본 진단항목을 활용 할 수 없거나, 다른 진단항목을 원할 경우 대비
    조직이 다양한 관점에서 ESG 수준진단 할 수 있는 추가 진단항목 제시
  • - 다양한 조직이 K-ESG 가이드라인을 사용할 수 있도록 범용성 제고
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활용할 수 있는 확장가능성
  • - K-ESG 가이드라인은 기업의 ESG 수준향상 지원에 초점을 두고 있음
  • - 투자기관, 평가기관, 검증기관 등도 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확장 가능성 제시
  • - 특히, 정부기관 산업계 ESG 수준을 확인하고, 지원정책의 수립 가능